“생활. 해양쓰레기, 전면 소각이 답이다”
상태바
“생활. 해양쓰레기, 전면 소각이 답이다”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7.05.11 13: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지역 실정에 맞는 쓰레기 처리 메뉴얼 마련해야..'

 

2020년 세계환경수도를 지향하는 제주도가 인구 증가와 국내.외 관광객 유입에 따라 생활쓰레기는 물론 해양쓰레기가 넘쳐나면서 전면 소각으로 가야한다는 주장이다.

최근 몇 년새 제주는 유입인구와 함께 국내.외 관광객이 크게 늘며 하루 평균 활동인구는 8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들이 버리는 쓰레기의 양은 하루 1인당 1.8kg 수준으로 타지역 발생량의 두배에 이른다.

쓰레기 배출양은 2010년 639톤에서 지난해 1161톤에 이어 올해는 1199톤으로 불과 5~6년만에 87.6%나 폭증했다. 연간 42만톤이 넘는 양으로 5톤 트럭으로 8만 4000대에 이르는 분량이다.

또 최근 제주도의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따른 건축붐이 불면서 각종 폐목재 등 건축폐기물이 무차별적으로 쏟아지고 있다.

재활용을 늘리기 위한 환경부가 만든 200종의 방법이 있지만, 제주도 실정에 맞지 않을 수 있는 만큼 제주지역 실정에 맞는 메뉴얼을 별도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도는 한라산 주위로 만적된 쓰레기 매립장이 20곳, 사용중인 매립장 9곳이 있으나, 지금 사용 중인 매립장도 2018년 안에 만적이 예상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쓰레기를 줄이지 않으면 제주도 전지역이 매립장화 될 처지에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제주도 현실에 맞는 쓰레기 처리대책 매뉴얼을 마련해 제주가 쓰레기 섬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면소각으로 거야 한다”는 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제주 해안도로변 미관 저해하는 해양쓰레기 대책은...

 
해양쓰레기가 해안도로변 미관을 저해하고 있는 가운데 현장에서 소각할 수 있는 이동식 소각기로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주자치도는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해 전국 최초로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를 운영하고 있지만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제때에 수거가 되지 않으면서 해안도로변 미관을 해치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말까지 제주시 56명·서귀포시 44명 등 총 100명을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로 위촉했다.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해안변 해양폐기물 발생 취약구간에 고정 배치되고 있다.

이들은 1명 당 해안변 책임구간을 지정받고, 상시 수거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 31일 현재 제주시 관내에서 발생해 처리한 해양쓰레기는 1천 335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쓰레기 발생 원인으로는 태풍, 장마, 기상악화 시 하천을 통해 유입되는 육상기인 쓰레기와 어업활동에서 발생되는 어구·어망, 폐스티로폼 및 중국, 육지부 등지에서 밀려오는 해상기인 쓰레기다.

매년 제주도에서 발생되는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약 2만여 톤으로 1만4천여 톤으로 전도의 약 65%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이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해안도로변에 장기간 방치되면서 관광시즌을 맞아 해안도로변 미관을 저해하고 있다.

특히 읍면동별 쓰레기 수거 차량을 운영하고 있지만 해양쓰레기의 경우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것은 물론 공공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반입이 제한되면서 해안도로변 미관 저해는 물론 처리에 크게 애를 먹고 있는 것.

따라서 “읍.면별 이동식 현장 소각기를 구입해 해양쓰레기를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